미국 유학

미국 박사과정 합격률 통계와 입학 정원 알아보기 (2023년)

콩지니어 2024. 2. 1. 16:35

최근 한국 대학원 지원률은 낮아지는데 해외 대학원 유학 인원은 수만명에 이른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그만큼 국대 대학원 대비 해외로 대학원 유학을 생각하고 지원하는 사람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해외 유학이 모두에게 무조건 더 좋다고 할 수는 없지만, 유학을 나와있는 한사람으로서 많은 분들에게 더 나은 선택을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대학원 유학이라면 석사과정도 있고 박사과정도 있습니다. 한국 대학원과 비교하여 미국 대학원에서 두 학위과정을 바라보는 인식은 차이가 있어, 희망하는 과정에 맞는 예상과 준비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의 유명대학 중 일부의 통계를 통해 미국 박사과정 정원은 어느정도인지와 합격률은 어느정도 되는지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박사과정 유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지원서 예시와 함께 상세히 적어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미국 대학원 박사과정 유학 준비와 지원의 모든 것 - 합격 예시(샘플)로 보는 준비부터 제출까지

미국 박사 유학. 누군가에게는 두렵고 어쩔땐 설레는 미국 박사과정 유학의 결정을 앞두었다면 같은 길을 지나온 사람으로서 반갑고 응원드립니다. 미국 대학원 지원에는 한국에서는 샘플을 찾

phd.korean-engineer.com

 

 

미국 대학원 SOP 작성과 샘플 - 예시로 보는 초안부터 완성까지

미국 대학원 지원 준비에서 가장 어렵고 오래걸리는 과정이 바로 SOP (Statement of Purpose)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대학원에서 학업계획서에 대해 형식상 보고 넘어가는 통상적인 절차와는 다르게

phd.korean-engineer.com

 

 

미국 박사과정 합격률

한국과 미국의 박사과정 입학 정원 통계

우선 한국 대학원의 통계를 보고 이를 미국 대학원의 입학 통계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단과대 별로 통계가 나와있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학계열을 기준으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문계열 혹은 공학이 아닌 자연계열 통계는 함께 적어드리는 링크를 통해 통계를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공학계열 대학원 박사과정 통계

서울대학교의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봄 학기 모집요강에 따르면, 공과대학과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등에 소속된 공학계열 학과의 석박통합과 박사과정의 정원을 합치면 총 718명 입니다. (공과대학 639명,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공학계열 55명, 데이터사이언스 공학계열 24명)

이번엔 미국의 Stanford 대학의 통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스텐포드는 석사과정 통계는 없고 박사과정에 대한 통계를 학과별로 공개하고 있는데, 미국에서는 석박통합이라는 개념 없이 모두 박사과정으로 선발하니 2023년 가을 학기 박사과정 통계를 보겠습니다.

School of Engineering에 소속된 10개의 학과에서 PhD 통계에 따르면 모든 학과를 합친 박사과정 총 입학인원은 340명 입니다. 서울대학교 공학계열 정원의 절반도 되지 않는 숫자 입니다. 최종 입학을 하지는 않은 합격자를 포함해도 512명으로, 높게 잡아도 서울대학교 정원보다는 낮습니다.

다만 일부 학과는 오히려 스탠포드가 더 많기도 한데, 예를 들면 스텐포드의 Bioengineering 입학인원은 46명, Computer Science 입학인원은 68명 인데, 서울대의 정원은 바이오엔지니어링과 응용바이오학과를 합쳐 36명, 컴퓨터공학은 43명으로 오히려 스탠포드에서 더 많이 선발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스텐포드가 전세계에서 최고로 꼽는 대학이라는 점, 그리고 교수 숫자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정말 많이 선발한다고 보기도 어려운데,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 교수는 35명, 스탠포드 Computer Science 교수는 68명인 것을 고려하면 교수 인원 대비 입학생 비율은 스탠포드가 더 적습니다.

공학계열 학과별 통계

이번엔 지원자가 많은 학과별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탠포드를 포함한 여러 미국학교와 비교하면 대략 미국에서 어느정도의 박사과정이 선발이 되는지 보다 이해하기 좋을 것 같습니다. 모든 학교가 통계를 공개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서, 통계를 공개한 학교 중 임의로 선정하였습니다.

참고로, 한국에서는 아이비리그 학교는 공학계열이 별로라는 편견과는 다르게 연구실적이 뛰어나고 경쟁률도 높은 학교들이 몇몇 있습니다. 예를들어 Cornell이나 University of Pennsylvenia(유펜)은 공학계열도 유명합니다.

Computer Science 컴퓨터공학

미국에서는 단연 가장 지원자가 많이 몰리는 공학계열 학과는 컴퓨터공학 입니다.

서울대학교 43 명
Stanford University 68 명
Cornell University 54 명
University of Michigan 51 명
Northwestern University 23 명

Cornell 대학은 아이비리그 중에서도 (공학계열 중에는) Computer Science가 유명한 학교입니다. 때문에 다른 공학계열 학과에 비해 지원자도 경쟁률도 높은 편 입니다.

University of Michigan은 주립대학 중에서도 규모가 큰 편에 속하는데, 학부생 기준으로 재학생이 30,000명이 넘습니다. 한국에서는 미시간 대학교로도 불리며 평범한 주립대 정도로 아는 사람이 많지만 공학계열에서 전반적으로 순위가 높고 Computer Science 연구로 학계에서는 꽤 유명한 학교입니다.

Northwestern University는 한국에서는 많이 알려져있지 않지만 미국 내에서는 명문 사립대학으로 유명한 학교입니다. 규모가 다른 학교에 비해 큰 편은 아니라서 들어가려고 하면 꽤 문턱이 높은 학교 입니다.

Electrical Engineering 전기전자공학

전형적인 공학계열 학과 중 하나인 전기전자 관련 학과는 대체로 정원이 많은 편 입니다. 최근에는 Computer Science와 접점이 많아지면서 CS 학과의 높은 경쟁률이 부담일 때 전략적으로 EE를 택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비슷한 이유로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ECE) 혹은 유사한 이름으로 되어있는 학교도 많이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 전기정보학과로 되어있고, 다른 공학계열 학과에 비해 유독 박사과정(석박통합 포함) 정원이 많은 학과 입니다.

Northwestern 대학은 Computer Engineering과 Electrical Engineering이 다른 학과로 구분되어 있어 이를 합산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전기정보) 146 명
Stanford University 55 명
Cornell University 49 명
University of Michigan 60 명
Northwestern University 12 명

Me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과 함께 공과대학에서 빠지지않는 전형적인 공학계열 학과인 기계공학 역시 살펴보겠습니다.

서울대학교는 일반 기계공학과와 멀티스케일이계공학과를 구분하였는데, 아래 숫자에서는 이를 합산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81 명
Stanford University 39 명
Cornell University 26 명
University of Michigan 73 명
Northwestern University 14 명

미국 대학 박사과정 합격률 (경쟁률)

미국 대학에서 박사과정 정원이 어느정도 되는지 알아보았으니, 이번엔 미국 대학의 경쟁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울대학교의 대학원 경쟁률은 찾아볼 수 있는 통계가 없어 비교는 어렵지만, 유학을 준비하신다면 중요한 비교는 아닐 것 같습니다.

아래 표에서 합격자 수는 최종 입학을 결정하기 전 합격 결정이 내려진 총 인원으로, 이 중 일부는 다른학교로 진학하기 때문에 위에 적어드린 최종 입학인원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한국에서는 잘 보기 어려운 수치인데, 한국에서는 정원 만큼만 선발한 후 추후에 빈자리를 매꾸는 식인데, 미국 대학은 다른 학교로 가는 비율을 예상하고 정원보다 더 많이 선발하고 보기 때문에 나타나는 차이 입니다. 딱 정해진 만큼만 받아야 하는 한국과는 다르게 약간은 자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유가 있는 미국 대학의 특징으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Computer Science

학교 합격률 합격자 수
Stanford University 6.25 % 120 명
Cornell University 13.31 % 168 명
University of Michigan 9.83 % 128 명
Northwestern University 11.34 % 50 명

Electrical Engineering (+ Computer Engineering)

학교 합격률 합격자 수
Stanford University 9.24 % 72 명
Cornell University 16.4 % 91 명
University of Michigan 13.9 % 107 명
Northwestern University 15.32 % 38 명

Mechanical Engineering

학교 합격률 합격자 수
Stanford University 11.07 % 57 명
Cornell University 13.01 % 51 명
University of Michigan 22.16 % 121 명
Northwestern University 15.81 % 49 명

통계 요약

위 통계를 보면 확실히 Computer Science 학과가 대체로 경쟁률도 높고 선발 인원도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학교는 학교대로 학과의 규모를 키우고 있지만, 지원자는 지원자대로 몰린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습니다. 특히, Stanford 대학은 전세계에서 뛰어나다고 하는 유학생은 전부 몰리는 것을 예상해 보면 6%대 합격률은 문턱이 상당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University of Michigan 역시 다른 학과보다 선발 인원이 더 많으면서도 경쟁률도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학교가 규모가 있는 만큼 CS, ECE, ME 모두 합격자가 100명이 넘어가는 점도 특징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계에는 없지만 비슷한 규모의 다른 학교들도 이정도 선발한다고 예상해 볼 수 있는 힌트가 될 것 같습니다.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의 공학계열 학과 박사과정 통계와 함께 미국 대학의 통계를 비교하며 두 나라의 박사과정 정원 차이를 확인해 보고, 미국 대학들의 박사과정 합격률을 소개해 보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통계가 공개되어 있는 일부 대학의 일부 학과에 대해서만 소개드렸지만, 이 중 지원하고자 하는 학교나 학과가 없다면 위 통계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면 지원 학과에 맞는 정보로 이해에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미국 대학은 박사과정 학생을 정성을 들여 선발하고 또 양성하는 만큼 선발 인원이 명성과 학교 규모에 비해 한국보다 적은 편 입니다. 하지만 연구하기 좋은 대학이 한국보다 많으니 특정 학교가 아닌 '좋은 학교'로의 진학이 목표라면 충분히 해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대학원 랭킹이 별로 의미가 없는 분위기 이고, 한편으로 학교별 정원이 많이 않은 만큼 운에 따라 좌우되기도 하니 하고싶은 분야로의 진학을 목표로 하고, 또 진학 후 최선을 다한다면 학교 이름과 무관하게 인정받는 연구자가 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럼, 미국 대학원 박사과정으로의 유학 준비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